-
그동안 주로 세 자녀 이상의 다자녀 가구에게만 제공되던 혜택이 2025년부터는 두 자녀 가정에도 적용되면서 더 많은 가정이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1. 자동차 취득세 감면
그동안 18세 미만 자녀가 세 명 이상인 가구에만 100% 감면 혜택이 주어졌으나, 이번 개정으로 두 자녀 가구도 50%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1-1. 감면 대상 및 한도
- 감면 대상: 6인승 이하 승용차
- 감면 한도: 두 자녀 가구는 최대 70만 원, 세 자녀 이상 가구는 최대 140만 원까지 감면
- 신청 방법: 차량 등록 시 관련 서류(주민등록등본 등)를 제출하여 혜택 신청
1-2. 주의사항
- 감면은 한 대의 차량에만 적용됩니다.
- 혜택은 2025년부터 적용되므로, 이전에 구매한 차량에는 소급 적용되지 않습니다.
2. 아이돌봄서비스: 두 자녀 가구 우선 제공
2025년부터 두 자녀 가구도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소득에 따라 추가 지원도 가능합니다.
2-1. 서비스 내용
- 대상: 12세 미만 자녀가 있는 가정
- 우선순위: 36개월 이하 자녀가 둘 이상이거나, 12세 미만 자녀가 셋 이상인 가구
- 지원 범위: 월평균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경우 본인부담금의 10% 추가 지원
2-2. 서비스 신청 방법
- 신청 절차: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 필요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소득 증빙 서류 등
3. 세액 공제
종합소득세 신고 시, 두 자녀 가구는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가 많을수록 공제 금액이 커지며, 출산 또는 입양 시 추가 혜택도 제공됩니다.
3-1. 일반 세액 공제
- 공제 금액: 자녀 1명 연 15만 원, 자녀 2명 연 35만 원, 자녀 3명 이상 35만 원 + 추가 자녀당 30만 원
- 신청 방법: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녀 기본공제대상자로 등록
3-2. 출산 및 입양 세액 공제
- 첫째 자녀: 연 30만 원 공제
- 둘째 자녀: 연 50만 원 공제
- 셋째 이상: 연 70만 원 공제
4. 대중교통 할인: K-패스 다자녀 할인
2025년부터 다자녀 가구를 위한 K-패스 할인율이 대폭 확대됩니다. 기존 20% 할인에서 두 자녀 가구는 30%, 세 자녀 가구는 50%까지 할인됩니다.
4-1. K-패스 주요 혜택
- 대상: 두 자녀 이상을 둔 가구
- 할인율: 두 자녀 30%, 세 자녀 이상 50%
- 신청 방법: K-패스 가입 후, 다자녀 증빙 서류 제출
4-2. 철도 운임 할인(KTX, SRT)
- 할인율: 두 자녀 가구는 어른 운임의 30%, 세 자녀 가구는 50% 할인
- 조건: 자녀 2인 이상 포함된 3인 이상 가족
5. 전기차 구매 보조금
환경을 생각하는 가구를 위해 전기차 구매 보조금도 자녀 수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두 자녀 가구는 100만 원, 세 자녀 가구는 200만 원, 네 자녀 가구는 300만 원까지 추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국립자연휴양림 할인
두 자녀 가구는 국립자연휴양림에서도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입장료: 두 자녀 가구 국립자연휴양림 입장료 면제
- 시설이용료: 두 자녀 가구 비수기 주중 객실 30%, 야영시설 20% 할인, 주말 객실과 야영시설 각 10% 할인
- 다자녀 가구 혜택: 산림휴양 통합플랫폼 '숲나들e'
숲나들e
숲나들e, 자연휴양림, 휴양림, 자연, 휴식
www.foresttrip.go.kr
2025년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대상, 소득기준, 신청방법 총정리
2025년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대상, 소득기준, 신청방법 총정리
아이돌봄 서비스는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거나, 갑자기 아이를 돌볼 수 없는 일이 생겼을 때,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돌보미가 찾아가는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 아이돌봄 서
savingsinfo.tistory.com
연말정산 환급금 늘리는 절세 팁!
연말정산으로 세금을 줄이고 환급금을 늘리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와 다양한 절세 방법을 준비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연말정산 환급금을 늘릴 수 있는 팁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savingsinfo.tistory.com
2025년 차상위계층 소득요건 및 신청 방법
차상위계층은 대한민국 복지체계에서 기초생활수급자보다 소득이 높지만, 여전히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계층을 지칭합니다. 2025년 기준 차상위계층의 소득요건과 지원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기
savingsinfo.tistory.com
소상공인 지원 정책 : 햇살론119, 소상공인 성장 UP 보증대출
소상공인 지원 정책 : 햇살론119, 소상공인 성장 UP 보증대출
은행권은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햇살론과 소상공인 성장 Up 보증대출을 출시했습니다. 햇살론 119는 채무 조정을 통해 재기를 모색하는 영세 개인사업자에게 운전자금을 제공하는
savingsinf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