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광장

정부 정책, 금융 및 다양한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블로그입니다. 정부 정책 지원금

  • 2025. 2. 28.

    by. 전달해주리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수를 성실히 근무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즉, 일주일을 성실히 근무한 근로자에게 하루치 급여를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목차

     

     

    주휴수당 지급 기준 

     

    1. 1주 동안 소정근로일을 개근할 것

    결근 없이 정해진 근로시간을 모두 채운 경우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1주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것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주휴수당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즉, 주 15시간 미만으로 근무하는 단시간 근로자(아르바이트 포함)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3. 주휴일(유급휴일)은 원칙적으로 일주일에 하루를 보장해야 하며, 보통 일요일이 기본 주휴일로 설정됩니다.

    그러나 사업장에 따라 주휴일을 다른 요일로 정할 수도 있습니다.

     

     

     

     

    2025년 주휴수당 계산 활용 방법

     

    •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 법정 주휴수당 지급 기준: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주휴수당 계산 공식: 1일 근무시간 × 시급 = 주휴수당 금액

     

    1. 기본 주휴수당 계산 공식

    주휴수당 = 1일 근로시간 × 시급

    •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적용
    • 하루 5시간씩 주 6일 근무한 경우: 5시간 × 10,030원 = 50,150원

     

    2. 주 40시간 근무자 주휴수당 예시

     

    근무일수 1일 근로시간 시급 주휴수당
    주 5일 근무 8시간 10,030원 80,240원
    주 6일 근무 6.6시간 10,030원 66,198원

     

     

     

     

     

    2025년 알바 주휴수당 계산 예시

    아르바이트생도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했다면 정규직, 계약직과 동일하게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주 3일 근무, 하루 5시간 근무 시

    • 주 총 근무시간: 15시간 (주휴수당 지급 대상)
    • 주휴수당: 5시간 × 10,030원 = 50,150원

     

    2. 주 4일 근무, 하루 4시간 근무 시

    • 주 총 근무시간: 16시간주휴수당 지급 대상
    • 주휴수당: 4시간 × 10,030원 = 40,120원

     

    3. 주 2일 근무, 하루 8시간 근무 시

    • 주 총 근무시간: 16시간주휴수당 지급 대상
    • 주휴수당: 8시간 × 10,030원 = 80,240원

     

     

     

     

    주휴수당 미지급 시 해결 방법

     

    1. 사용자(사업주)에게 요청

    먼저, 사업주에게 주휴수당 미지급 사실을 알리고 지급 요청을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사업주가 몰라서 지급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대화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2. 고용노동부 신고

    만약 사업주가 지급을 거부한다면 고용노동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전화 문의

    • 주휴수당 미지급 문제를 상담하고 신고 절차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신고

     

    고용노동부 임금체불 진정신고 바로가기
    고용노동부 임금체불 진정신고 바로가기

     

     

    3) 관할 노동청 방문 신고

    • 사업장이 속한 고용노동청 근로감독관에게 직접 신고할 수 있습니다.
    • 근로계약서, 급여명세서, 출퇴근 기록 등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조사에 도움이 됩니다.

     

    3. 체불임금 진정 및 소송

    • 고용노동부 조사 이후에도 사업주가 지급하지 않으면 체불임금 진정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이후에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임금체불 진정 → 노동위원회 조정 → 민사소송(소액재판 가능) 등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4. 사업주 처벌 가능성

    • 주휴수당 미지급은 근로기준법 위반이며, 사업주는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확정되었으며, 이에 따른 주휴수당 계산법을 정확히 이해하면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는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여 본인의 급여를 정확히 확인하고, 미지급 시 신고 절차를 통해 정당한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 지급 일정, 신청방법

     

     

    2025년 4대 보험 요율 계산방법

function add_open_links_in_new_tab() { echo ''; } add_action('wp_footer', 'add_open_links_in_new_tab');